맨위로가기

FIBA 유로바스켓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BA 유로바스켓은 국제 농구 연맹(FIBA)이 주관하는 유럽 농구 선수권 대회이다. 1935년 스위스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라트비아가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남자 대회는 소련이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고, 이후 유고슬라비아, 스페인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 대회는 1938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으며, 소련이 21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스페인은 여자 대회에서도 강세를 보이며, 2013년, 2017년, 2019년에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BA 유로바스켓 - 아르비다스 사보니스
    아르비다스 사보니스는 리투아니아 출신의 농구 선수로, 221cm의 신장을 바탕으로 1980년대 소비에트 연방 리그와 NBA 등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 FIBA 유로바스켓 - FIBA 유로바스켓 2011
    FIBA 유로바스켓 2011은 리투아니아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스페인이 우승하고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가 MVP로 선정되었다.
  • 193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부엘타 아 에스파냐
    부엘타 아 에스파냐는 스페인에서 3주간 개최되는 사이클링 그랜드 투어 대회로, 빨간색 황금 저지를 입는 종합 우승자를 가리며 로베르토 헤라스와 프리모슈 로글리치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고, 스페인 내전과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으나 국제적인 대회로 자리매김하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 193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DFB-포칼
    DFB-포칼은 독일 축구 협회가 주관하는 독일의 축구 컵 대회로, 독일 축구 리그 시스템에 참가하는 모든 팀에게 참가 자격이 주어지며, 우승팀에게는 UEFA 유로파리그 본선 진출권이 주어진다.
  • 농구 대회 - 유로리그
    유로리그는 1958년 FIBA 유럽 챔피언스컵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고의 프로 농구 클럽 대회가 되었으며, 리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18개 팀이 참가하며, FIBA와의 갈등을 겪었지만 독자적인 리그로 성장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농구 대회 - 윌리엄 존스컵
    윌리엄 존스컵은 FIBA 사무총장 레나토 윌리엄 존스를 기념하기 위해 1977년 시작되어 중화민국 농구 협회가 주최하는 국제 농구 초청 토너먼트이며, 다양한 국가의 팀들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우승을 겨룬다.
FIBA 유로바스켓
대회 정보
종목농구
창설1935년
첫 대회1935년
참가 국가FIBA 유럽 회원국
최근 대회유로바스켓 2025 예선
최다 우승소련 (14회)
최근 우승팀스페인 (4회 우승)
웹사이트유로바스켓 공식 웹사이트
FIBA 유럽
관련 대회FIBA 유럽 스몰 컨트리 챔피언십
유로바스켓 여자부

2. 역사

FIBA 유로바스켓은 1935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첫 대회가 열린 이후, 유럽 농구 최강팀을 가리는 대회로 자리매김했다.

초기에는 1935년 첫 대회에서 라트비아가 우승하고, 1937년 대회와 1939년 대회에서 리투아니아가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발트 3국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1년 대회는 취소되었다.[2]

전쟁 이후 1947년 대회부터 소련이 참가하여 1971년까지 14번의 대회 중 11번을 우승하며 압도적인 시대를 열었다. 1950년대에는 1955년 대회에서 헝가리가 우승한 것을 제외하고는 소련이 모든 대회를 석권했다. 1960년대에도 소련은 5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독주를 이어갔다.

1970년대에는 유고슬라비아가 소련의 대항마로 떠올랐다. 유고슬라비아는 이 시기 3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소련과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1973년 대회에서는 스페인이 준결승에서 소련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서유럽 국가들의 약진이 시작되었다. 1983년 대회에서는 이탈리아가 우승을 차지했고, 1985년 대회부터는 3점슛 라인이 도입되면서 경기 양상에 큰 변화가 생겼다.

1990년대 이후에는 다양한 국가들이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이 심화되었다. 1987년 그리스를 시작으로, 독일(1993년), 리투아니아(2003년), 러시아(2007년), 프랑스(2013년), 슬로베니아(2017년) 등이 새로운 우승국으로 이름을 올렸다.

특히 2000년대 후반부터는 스페인이 2009년, 2011년, 2015년, 2022년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

1991년 대회부터는 NBA 선수들의 참가가 허용되었고, 소련과 유고슬라비아의 해체는 유로바스켓의 판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연도개최지결승전3위 결정전
우승득점준우승3위득점4위
193524–1825–23
193724–2327–24
1939n/an/a
1941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됨
194634–3238–32
194756–3750–48
194957–36n/a
195145–4455–52
1953n/an/a
1955n/an/a
1957n/an/a
195983–7262–60
196160–5355–46
196361–4589–61
196558–4986–70
196789–7780–76
196981–7277–75
197169–6485–67
197378–6790–58
1975n/an/a
197774–6191–81
197998–7699–92
198184–76101–90
1983105–96105–70
1985'''120–89102–90
1987103–101
오버타임
98–87
198998–77104–76
199188–73101–83
199371–7099–59
199596–9073–68
199761–4997–77
199964–5674–62
200178–6999–90
200393–8469–67
200578–6298–68
200760–5978–69
200985–6357–56
201198–8572–68
201380–6692–66
2015


80–6381–68
2017


93–85''''93–85''
2022


88–7682–69
2025



2. 1. 초기 역사

1935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는 라트비아가 우승을 차지했다.[1] 이 대회는 FIBA 설립 3년 후에 개최되었으며, 10개국이 참가했다. 1937년 대회와 1939년 대회에서는 리투아니아가 우승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1년 대회는 취소되었다.[2]

1949년에는 이집트가 우승하면서 비유럽 국가 중 유일한 우승국이 되었다.[1]

FIBA 유로바스켓 초기 대회 결과
연도개최지우승준우승3위
1935
1937
1939
1941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6
1947
1949



1937년 유로바스켓 우승을 축하하는 리투아니아

2. 2. 소련의 지배

1947년 대회에 소련이 처음 참가한 이후, 1971년까지 14번의 대회 중 11번을 우승하며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3]

1950년대 소련은 5번의 대회 중 1951년 대회, 1953년 대회, 1957년 대회, 1959년 대회에서 우승했다. 1955년 대회에서는 헝가리가 우승했고, 소련은 3위를 기록했다.[4]

1960년대 소련은 1961년 대회부터 1969년 대회까지 5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소련의 55연승 기록은 1969년 대회에서 유고슬라비아에 의해 깨졌다.[5]

2. 3. 유고슬라비아의 강세

1970년대는 유고슬라비아와 소련의 경쟁 시대였다. 이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는 금메달 3개, 소련은 금메달 2개를 획득했다.[6] 1973년 대회에서는 스페인이 준결승에서 소련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유고슬라비아가 우승을 차지했다.[6] 1975년 대회에서 유고슬라비아는 홈에서 소련을 꺾고 우승했으며,[6] 1977년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6]

2. 4. 서유럽의 부상과 변화

1980년대에는 서유럽 국가들이 FIBA 유로바스켓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983년 유로바스켓에서는 이탈리아가 결승전에서 스페인을 105-96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7] 1985년 유로바스켓부터는 3점슛 라인이 도입되어 경기의 양상에 변화를 가져왔다.[7]

연도우승득점준우승
1983105–96
1985120–89


2. 5. 새로운 우승국들의 등장과 스페인의 지배

1987년 그리스는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연장전 접전 끝에 소련을 103-101로 꺾고 우승했다.[7] 1991년은 NBA 선수 참가가 허용된 첫 대회였으며, 소련은 붕괴로 인해 불참했다. 유고슬라비아는 1991년, 1995년, 1997년 우승을 차지했으나, 이후 국가 분열로 이어졌다.[8][9]

1993년에는 독일이, 2003년에는 리투아니아가 우승했다. 2005년에는 그리스가 다시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에는 러시아가 우승했지만, 2009년부터 스페인이 2009년, 2011년, 2015년, 2022년 우승을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다. 2013년에는 프랑스가, 2017년에는 슬로베니아가 우승하며 유로바스켓에서 우승한 14번째 국가가 되었다.

3. 대회 형식

유로바스켓은 1939년 풀 리그 방식부터 3단계 토너먼트를 거쳐 현재는 2단계 토너먼트 형식을 사용한다.

현재 형식은 예선 라운드로 시작하여, 24개 팀이 6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 경기를 치른다. 각 조 상위 4개 팀(총 16개 팀)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토너먼트 스테이지로 진출한다. 준결승전 패자는 동메달 결정전을, 8강전 패자는 5-8위 결정전을 치른다.

3. 1. 남자 대회

유로바스켓은 1939년 풀 리그 방식부터 3단계 토너먼트를 거쳐 현재는 2단계 토너먼트 형식을 사용한다.

현재 형식은 예선 라운드로 시작하여, 24개 팀이 6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 경기를 치른다. 각 조 상위 4개 팀(총 16개 팀)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토너먼트 스테이지로 진출한다. 준결승전 패자는 동메달 결정전을, 8강전 패자는 5-8위 결정전을 치른다.

3. 1. 1. 예선

개최국과 지난 대회 상위 국가는 예선이 면제되며, 나머지 출전국은 예선을 통해 결정된다. 예선은 디비전 A, B, C의 3부제로 진행되며, 디비전 A에서 승리한 국가가 본선에 진출한다. 디비전 A의 하위 2개 팀은 디비전 B로 강등되고, 디비전 B의 상위 팀은 디비전 A로 승격된다.[1]

2011 유로바스켓까지 16개 팀이 본선에 참가했다. 8개 자리는 개최국과 이전 유로바스켓 상위 7개 팀에게 주어졌다. 나머지 디비전 A 팀들은 예선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4개 그룹으로 나뉘어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그룹 1위 팀과 2위 팀 중 상위 3개 팀이 유로바스켓에 진출했다.[1]

예선에서 탈락한 10개 팀 중 상위 6개 팀은 추가 예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나머지 4개 팀은 강등 라운드에서 경쟁하여, 2개 팀이 다음 예선 주기를 위해 디비전 B로 강등되었다 (디비전 B에서 상위 2개 팀으로 대체됨).[1]

추가 예선 라운드에서는 6개 팀이 3팀씩 2개 그룹으로 나뉘어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그룹 1위 팀은 결승전을 치렀고, 승리 팀이 유로바스켓 최종 예선 자격을 얻었다.[1]

2015년, 아이슬란드는 인구 약 33만 명으로 유로바스켓 결선에 진출한 가장 작은 국가가 되었다. 욘 아르노르 스테판손의 활약으로 예선을 통과했으며, 2017년에는 마르틴 헤르만손을 중심으로 2회 연속 유로바스켓 결선에 진출했다.[1]

3. 1. 2. 본선

FIBA 유로바스켓 본선은 24개 팀이 참가하여 6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 상위 4개 팀(총 16개 팀)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토너먼트 스테이지로 진출한다. 준결승전에서 패한 팀들은 동메달 결정전을 치르고, 8강전에서 패한 팀들은 5위부터 8위까지 순위를 결정하는 경기를 치른다.[1]

2007년 대회의 경우, 1차 라운드는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각 조 상위 3개 팀이 2차 라운드에 진출했다. 2차 라운드는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고, 각 조 상위 4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우승팀을 가렸다.[1]

4. 역대 대회 결과

연장전소련유고슬라비아98–87스페인12261989유고슬라비아유고슬라비아98–77그리스소련104–76이탈리아8271991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88–73이탈리아스페인101–83프랑스8281993독일독일71–70러시아크로아티아99–59그리스16291995그리스유고슬라비아96–90리투아니아크로아티아73–68그리스14301997스페인유고슬라비아61–49이탈리아러시아97–77그리스16311999프랑스이탈리아64–56스페인유고슬라비아74–62프랑스16322001튀르키예유고슬라비아78–69튀르키예스페인99–90독일16332003스웨덴리투아니아93–84스페인이탈리아69–67프랑스16342005세르비아 몬테네그로그리스78–62독일프랑스98–68스페인16352007스페인러시아60–59스페인리투아니아78–69그리스16362009폴란드스페인85–63세르비아그리스57–56슬로베니아16372011리투아니아스페인98–85프랑스러시아72–68북마케도니아24382013슬로베니아프랑스80–66리투아니아스페인92–66크로아티아24392015프랑스, 크로아티아, 독일, 라트비아스페인80–63리투아니아프랑스81–68세르비아24402017핀란드, 이스라엘, 루마니아, 튀르키예슬로베니아93–85세르비아스페인93–85러시아24412022체코, 조지아, 독일, 이탈리아스페인88–76프랑스독일82–69폴란드24422025라트비아, 키프로스, 핀란드, 폴란드244320292025년에 발표 예정24



각 대회의 자세한 정보는 표 안의 해당 연도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1. 남자 대회

오버타임98–87198998–77104–76199188–73101–83199371–7099–59199596–9073–68199761–4997–77199964–5674–62200178–6999–90200393–8469–67200578–6298–68200760–5978–69200985–6357–56201198–8572–68201380–6692–662015


80–6381–682017


93–8593–852022


88–7682–692025



4. 2. 여자 대회

#연도개최지금메달 결정전동메달 결정전참가팀
금메달점수은메달동메달점수4위
422025 라트비아
키프로스
핀란드
폴란드
24
4320292025년에 발표 예정24


참조

[1] 웹사이트 EuroBasket History – The 30s http://www.fibaeurop[...] FIBA Europe 2017-12-06
[2] 웹사이트 Federation focus: Lithuania https://www.fibaeuro[...] 2023-08-28
[3] 웹사이트 EuroBasket History – The 40s http://www.fibaeurop[...] FIBA Europe 2017-12-06
[4] 웹사이트 EuroBasket History – The 50s http://www.fibaeurop[...] FIBA Europe 2017-12-06
[5] 웹사이트 EuroBasket History – The 60s http://www.fibaeurop[...] FIBA Europe 2017-12-06
[6] 웹사이트 EuroBasket History – The 70s http://www.fibaeurop[...] FIBA Europe 2017-12-06
[7] 웹사이트 EuroBasket History – The 80s http://www.fibaeurop[...] FIBA Europe 2017-12-06
[8] 뉴스 BASKETBALL; Politics Take Center Court as Yugoslavs Win Title https://www.nytimes.[...] 1995-07-03
[9] 웹사이트 EuroBasket History – The 90s http://www.fibaeurop[...] FIBA Europe 2007-12-06
[10] 웹사이트 FIBA Archive https://archive.fiba[...] FIBA 2020-07-04
[11] FIBA archive Yugoslavia participation https://archive.fiba[...]
[13] FIBA archive Yugoslavia participation https://archive.fiba[...]
[22] 기사 Baloncesto/Eurobasket.- Gasol, Parker y Papaloukas, en busca del título de MVP de Nowitzki http://www.europapre[...]
[23] 웹사이트 Basketball / European Championships http://www.allcompet[...] 2007-09-15
[24] Top scorer of each EuroBasket (Top 3) https://archive.fiba[...]
[25] All time highest scoring average (Top 10). https://archive.fiba[...]
[26] 웹사이트 Διαμαντίδης και Σπανούλης στην κορυφαία πεντάδα της 20ετιας των EuroBasket https://www.sport24.[...] FIBA 2023-08-16
[28] 웹사이트 FIBA History http://www.fiba.com/[...] FIBA
[29] FIBA archive Yugoslavia participation https://archive.fib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